치매 치료 관련 국내 주식 정리
치매 관련주에는 고려제약, 명문제약, 환인제약, 현대약품, 진양제약, 아이큐어 등이 있습니다.
치매란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기능이 떨어지는 복합적인 증상을 말합니다.
치매는 그 자체가 하나의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뇌손상에 의해 기억력을 위시한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포괄적인 용어입니다.
치매의 원인으로는 흔히 알고 있는 알츠하이머병이 전체 치매의 50~60%를 차지하며, 뇌의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혈관성 치매가 20~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기타 원인에 의한 치매도 존재합니다.
아래에서 치매 치료 관련 주식 6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회사인지 그리고 기업의 실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치매 관련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고려제약: 치매 관련주
중추신경계 치매 치료 예방제인 뉴로메드정 등을 판매하고 있는 제약 회사
기업소개
- 1980년 1월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설립되었으며, 2000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사업 영위 중임.
- 생산기술별로 신개발 의약품 부문(특허). 전문 치료약 부문(ETC), 일반 대중약(OTC) 부분으로 구분되며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파이프라인 개발 중.
- 농림축산식품부의 고부가가치 식품 기술 개발 사업에 선정되어 토종 작물인 마치현을 이용해 장 건강 기능성 식품의 원료를 개발하였음.
기업실적
-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4.3% 증가, 영업이익은 41.5% 증가, 당기순이익은 19% 증가
- 원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와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늘어남
- 코로나19 상비약인 하벤 캅셀이 품귀 현상을 보이면서 매출이 크게 증가함
명문제약: 치매 관련주
중추신경용제, 뇌기능장애 증상 개선제 '뉴라렌정', 알츠하이머 형태의 치매증상 치료제 '셉트페질정' 등을 생산하고 있음
기업소개
- 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3년 9월 설립되어 전문의약품 위주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2018년 5월 원료합성 사업부문을 분할.
-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을 통한 제네릭 출시와 함께 이스라엘 및 인도의 세계적인 제네릭 기업과의 제휴로 빠른 시간 안에 제네릭 출시 및 공급을 하고 있음.
- 주요 제품으로는 순환기 및 소화기약물인 씨앤유캡슐과 근골격계 및 마취약물군인 명문아트로다캅셀과 에페신정, 프로바이브주사 등이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증가, 영업이익은 84.4% 증가, 당기순이익은 146.4% 증가
-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와 원가율 하락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늘어남. 로젯정, 씨앤유캡슐 등의 판매량 증가가 매출 성장을 견인함
- 동사는 급성요통의 적응증을 가진 MMP-301을 비롯한 개량신약 및 나팜주 등의 제네릭 의약품과 항암제 및 치매 치료제의 원료물질 등의 연구개발을 진행 중임.
환인제약: 치매 관련주
알츠하이머형 치매 증상 치료제 '환인도네페질정', '리바메론패취', '환인메만틴정' 등을 보유한 제약 업체
기업소개
-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정신신경과 치료제 부문에서 특화된 기업으로 정신신경과 치료제 부문의 국내 시장점유율 1위 업체임.
- 또한 알코올중독 치료제, 항불안제 시장에서도 각각 약 50%, 20%의 높은 점유율을 확보, 시장 1위를 유지하고 있음.
- 주요 의약품은 정신신경용제 리페리돈, 쿠에타핀 등으로 매출 비중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며 순환계용제 및 골다공증 치료제 등이 그 뒤를 잇고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증가, 영업이익은 19.5% 감소, 당기순이익은 16.3% 감소
- 매출액은 소폭 증가했으나 원재료 부담 가중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 영업이익은 오히려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음
- 의사를 대상으로 한 디테일 영업의 강화 및 비용절감, 매출채권의 효율화, 우수 의약품 생산 등을 통한 경쟁력 제고에 힘쓰고 있으며 업체들간의 경쟁 강화 등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음.
현대약품: 치매 관련주
치매 치료제 '타미린', '하이페질정' 등의 제품을 판매 중이며, 치매 치료제인 '하이페질산' 품목 허가를 받고, 제품을 출시하였음
기업소개
- 시노카 등의 의약품 및 미에로화이바 등의 건강기능 음료의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사업부문은 의약품과 식품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 오리지널 품목의 도입 확대와 신제품의 지속적인 출시로 의약품 매출 비중이 높은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에로화이바 등 건강기능 음료도 일정 수준을 유지.
- 호흡기 치료제 부문의 서방형 제제로의 제형개선에 따른 HDDO-1601의 국내 1상 및 3상 완료되었으며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의 유럽 임상 1상 시험 종료.
기업실적
- 2022년 2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3.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사업구조상 의약품부문은 도매상 및 약국에 대한 고객 지향적 마케팅 구축과 병원 전문치료제 위주의 마케팅 전략으로 판매활동에 매진
- 식품부문은 대리점 조직을 강화하여 외형 신장 및 시장점유율 확대하고 있으며 온-오프라인 마케팅강화를 통해 신제품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
진양제약: 치매 관련주
치매 치료 약물인 염산메만틴을 주성분으로한 디멘사정을 제조, 판매 중이며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관련 치매증상 치료제인 리바스톤에 대해 식약처의 품목허가를 승인받았음
기업소개
- 1971년 7월 의약품의 제조, 판매 등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어 1978년 6월 법인 전환하였으며 2000년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
- 주요 제품으로는 순환계용약 및 소화기관용약, 중추신경계용약 등으로 제품의 매출 비중이 약 72%에 달하며 상품은 약 4%, 기타매출이 약 24% 임.
- 혈장 내 아스코르베이트의 제거방법, 신규 아세클로페낙의 아미노산염 및 이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등 다수의 특허등록을 보유하고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9.7% 증가, 영업이익은 57% 증가, 당기순이익은 22.6% 감소
-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늘어남. 국내외 특허권 획득 및 적극적인 시장참여와 기술제휴를 통한 신제품 발매를 추진 중임
- 동사는 주력제품인 순환기 부문에 대한 마케팅 강화 및 새로운 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 활동과 신제품 개발로 내실 있는 성장을 추구함.
아이큐어: 치매 관련주
리바스티그민 성분의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대증적 치료를 위한 엑셀론 패취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도네페질 성분의 치매치료제인 '뉴토인'(필름형)을 판매하고 있음
기업소개
- 2000년 5월 설립되어, 약물전달시스템에 관한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패치형 의약품 중심의 의약품연구개발 및 의약품과 화장품 OEM, ODM 사업 영위.
- 주요 종속기업으로는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 (주)바이오로제트, 아이콰(상해)국제유한공사가 있으며 일반의약품 판매사인 (주)아이큐어비앤피 등이 있음.
- 2021년 결산 기준, 전문의약품 87품목, 일반의약품 50품목의 총 137품목 의약품과 총 15개 의약외품의 MFDS 허가 품목을 보유하고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6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 감소, 영업손실은 0.9% 증가, 당기순손실은 30.3% 증가
- 제약 영업 방식이 CSO판매(판매대행)에서 총판계약으로 전환되고, 적자 화장품 브랜드 철수 이슈 등으로 매출액 감소 및 영업손실 지속됨
- 도네페질 패치제(도네리온)를 2022년 8월 셀트리온제약을 통해서 출시함. 본격적인 국내 판매는 2023년부터 시작될 전망임.
치매 관련주 6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하고 싶은 말 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