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관련주에는 어떤 국내 주식이 있을까?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0방송영상산업백서에 따르면 2018년 380억 달러였던 OTT 서비스의 글로벌 매출은 2019년에 463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5년간 13.36%의 성장을 거듭하며 2024년에 매출액 868억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OTT 시장 성장에 따라 드라마나 영화와 같은 콘텐츠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OTT 및 IT 기업의 콘텐츠 제작투자가 크게 확대됨에 따라 한국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 드라마가 동남아권에서 인기가 높은 가운데, 아시아 시장 공략을 위해 국내 콘텐츠 확보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넷플릭스는 2022년에 총 25편의 한국 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고, 국내 OTT 업체의 경우 웨이브는 5년간 1조원, 티빙은 3년간 4000억원, 카카오TV는 3년간 3000억원, 쿠팡플레이는 1년간 1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하였다. KT와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인터넷TV(IPTV) 3사도 3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콘텐츠를 공동으로 확보하는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OTT 이용자들은 1명당 평균 2.7개의 OTT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 OTT 시장 7대 업체인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쿠팡플레이, 디즈니플러스, 시즌, 왓챠의 4월 사용자 수는 2683만명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제작과 관련된 주식은 스튜디오드래곤(253450), 에이스토리(241840), 래몽래인(200350), 삼화네트웍스(046390), 팬엔터테인먼트(068050), 초록뱀미디어(047820)가 있다.
그렇다면 드라마 제작 관련주 6종목의 관련 이유와 어떤 기업인지, 기업의 실적은 어떠한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드라마 관련주 6종목
종목명 | 시가총액 |
스튜디오드래곤 | 2조 3,081억 |
에이스토리 | 3,122억 |
래몽래인 | 1,199억 |
삼화네트웍스 | 1,608억 |
팬엔터테인먼트 | 1,055억 |
초록뱀미디어 | 3,462억 |
단순히 관련주라는 이유로 주식을 무작정 매수하기보다, 관련 이유를 정확히 알고 어떤 기업인지를 파악한 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의 자세입니다.
아래에서 관련 이유와 기업소개, 기업실적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스튜디오드래곤: 드라마 관련주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방송국과 미디어 플랫폼, 해외시장에 공급하고 관련 부가사업을 영위하는 방송영상물제작사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
주요 드라마 작품으로는 2018년 ‘미스터션샤인’, 2019년 ‘호텔 델루나’, ‘사랑의 불시착’, 2020년 ‘여신강림’, 2021년 ‘빈센조’, 2022년 ‘스물다섯 스물하나’ 등이 있음
기업소개
- 2016년 5월 CJENM의 드라마사업부 물적분할로 설립,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있음.
- 주요 제작 드라마로는 응답하라 시리즈, 도깨비, 아스달연대기, 사랑의불시착 등이 있으며 CJENM의 tvN, OCN과 글로벌 OTT 넷플릭스 등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음.
- 유명 작가와 감독 및 연출 확보를 통해서 우수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으며, CJENM의 판매 대행을 통해 안정적 판매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증가, 영업이익은 1.4% 증가, 당기순이익은 0.4% 증가
- 드라마 시장의 주도권이 지상파 방송국에서 드라마 제작사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동사와 같이 자본력과 원천 IP를 보유한 스튜디오 모델이 차별화를 바탕으로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
- 글로벌 드라마 시장 진입을 목표로 애플TV 플러스 및 미국 제작사 스카이댄스 미디어와 공동 기획 제작 계약을 체결하였음.
에이스토리: 드라마 관련주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방송국과 해외시장 등에 공급하는 드라마 콘텐츠 제작사업 등을 영위하는 기업
주요 드라마 작품으로는 2016년 ‘시그널 시즌1’, 2019년 ‘킹덤 시즌1’, 2020년 ‘킹덤 시즌2’, 2022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등이 있음
기업소개
- 동사는 2004년 1월 설립된 방송 프로그램 제작업체로 주로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방송국과 해외시장 등에 공급하고 있음.
- 백일의 낭군님, 우리가 만난 기적, 시그널 시즌1 등의 드라마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킹덤 시즌 1, 2, 첫사랑은 처음이라서 시즌1, 2 등을 제작하였음.
- 글로벌 OTT향 시즌제 드라마 제작, 드라마 IP 및 해외 판권 확보 가능한 드라마 제작, 드라마 IP를 활용한 웹툰, 게임 분야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할 계획임.
기업실적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9.1% 증가, 영업이익은 602.7% 증가, 당기순이익은 144.3% 증가
- 드라마 저작권 매출 등의 매출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 대폭 상승함. 이에 따라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의 비용 모두 상승하였으나 매출액 상승폭이 이를 상회하여 영업이익 또한 대폭 상승
-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약 7배 증가함에 따라 당기순이익 또한 대폭 증가.
래몽래인: 드라마 관련주
방송프로그램(드라마, 예능), 공연 제작과 콘텐츠 IP를 활용한 부가사업(OST,해외방영권, VOD, 2차 라이선스 판매 등)을 영위하는 콘텐츠 제작사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
주요 드라마 작품으로는 2019년 ‘어쩌다 발견한 하루’, 2020년 ‘산후조리원’, ‘좀비탐정’, 2021년 ‘학교2021’ 등이 있음
기업소개
- 동사는 2007년 3월에 설립되어 2014년 12월 코넥스시장에 상장되었으며 드라마 제작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성균관 스캔들, 야경꾼일지, 마을 아치아라의 비밀 등 다수의 드라마를 제작했으며, 성균관 스캔들의 경우 해외 다수 지역에 수출하였음.
- 기존 지상파 3사 이외에 국내 케이블방송망으로 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며, 웹드라마, 소셜TV 등의 신규 플랫폼을 활용한 드라마 제작도 기획 중임.
기업실적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20.6% 증가, 영업손실은 182.5% 증가, 당기순손실은 229.8% 증가
- 동사의 드라마 제작 매출원가가 매출액 규모를 넘어서면서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이 발생한 모습을 보임
- 동사가 신규 제작 중인 2022년 '뉴노멀진',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재벌집 막내아들'등의 드라마에서 발생하는 흥행을 기대해야 할 것임.
삼화네트웍스: 드라마 관련주
방송드라마 제작 및 홍보물 제작, 국산영화 제작, 외국영화 수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
주요 제작 드라마 작품으로는 2016년 ‘낭만닥터김사부’, 2018년 ‘여우각시별’, 2019년 ‘멜로가 체질’, 2020년 ‘낭만닥터김사부2’ 등이 있음
기업소개
- 1991년 10월 설립되었으며, 2007년 4월 방송 프로그램 제작업 등을 영위하는 (주)삼화프로덕션과 합병함.
- 매니지먼트 사업, 스타 마케팅 사업을 영위하는 (주)더블유에스엔터테인먼트와 드라마 제작업을 영위하는 (주)스튜디오아이콘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
- 국내 최초의 드라마 독립 제작사로 110여 편 이상의 드라마를 제작하였으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목욕탕집 남자들, 명성황후, 제빵왕 김탁구 등이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4.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드라마 사업부와 매니지먼트 사업부 모두 매출액 크게 증가
- 동사는 향후 드라마IP 소유를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며, 이를 활용해 다양한 부가 사업(One Source, Multi-Use)을 진행할 계획. 영화, 웹툰 등 각 분야의 파트너를 연계한 사업 구상을 실행할 계획.
팬엔터테인먼트: 드라마 관련주
드라마와 같은 방송영상물 제작과 OST, 앨범 등의 음반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
주요 제작 드라마 작품으로는 2012년 ‘각시탈’, 2017년 ‘쌈마이웨이’, 2019년 ‘동백꽃 필 무렵’, 2021년 ‘라켓소년단’ 등이 있음
기업소개
- 1998년 4월 설립되어 방송영상물 제작 및 음반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2006년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 중국 최대 콘텐츠 제작사인 화책그룹과 드라마 킬미힐미를 공동 제작하는 등 중국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함.
- 또한, 드라마 외에도 시트콤과 영화 및 예능 등 다양한 장르에서 중국 메이저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중국시장 확대 진행 중임.
기업실적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6.9% 감소, 영업이익은 80.7% 감소, 당기순이익은 84.8% 감소
- 지난해 3편의 드라마를 제작하였고 올해 드라마 라인업 증가로 실적 및 콘텐츠 가치 상승이 기대됨
- 국내 지상파 3개 사가 주로 방영하고 있는 드라마는 현재 외주 제작 비율이 정부의 주도를 떠나 방송사의 자체 요구에 의해서도 외주 제작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임.
초록뱀미디어: 드라마 관련주
방송프로그램사업부문, 방송채널사업부문, 매니지먼트사업부문 등을 영위하는 기업
대표 드라마 작품으로는 SBS드라마 ‘펜트하우스’, MBC드라마 ‘역도요정 김복주’, ‘신입사관 구해령’, KBS드라마 ‘추노’, tvN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 ‘또 오해영’, JTBC드라마 ‘결혼작사 이혼작곡’, ‘나의 해방일지’ 등이 있음
기업소개
- TV 드라마 제작을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 제작사업과 콘텐츠 기반 OST와 테마파크 개발 등 각종 부가사업 및 임대사업 영위.
- 중국 DMG그룹 및 일본 소넷과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 이를 통해 해외 판매 관련 콘텐츠 제작 의사결정 용이한 편임.
- 종속기업으로 외식사업을 영위하는 (주)초록뱀푸드팜, (주)초록에프앤비와 투자사업을 영위하는 투자조합 등을 보유하고 있음.
기업실적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9%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22.5% 증가
-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매출원가와 판관비가 증가하였지만 더 큰 폭으로 올라 영업이익이 적자. 판관비 중 인건비의 부담이 증가
- 동사는 2021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기존 외주제작에 집중된 사업모델에서 자체 IP 기반 드라마 제작사업으로의 집중도를 높여가고 있음.
드라마 관련주 6종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내용의 기준은 글 작성 날짜 기준이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하고 싶은 말 적기